1. 글로벌 HRD의 역할
우선 글로벌 HRD의 역할은 기업의 글로벌화 단계에 따라 범위가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가령 기업이 국내에서만 사업을 하다가 해외 진출을 시작하면 제품이나 서비스의 해외 영업에 치중을 하게 됩니다. 이경우에는 해외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점차 해외에서의 사업이 확장 되면 해외에 파견하는 사람들이 생기고, 이들이 해외에서 성공적으로 성과를 내도록 준비시키는 것이 주요한 임무가 되겠습니다.
다음으로 해외에 현지 법인을 설립하여 영업이나 생산을 담당하는 현지인을 채용하면 (현채인) 이들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게 됩니다. 현채인의 양성은 언어가 통일이 되지 않으면서, 진출 국가 수가 늘어 날 수록 복잡한 양상을 띄게 됩니다. 일부 기업에서는 현채인들의 이직률이 높은 것을 우려해서 현채인에 대한 교육을 중단하거나 포기하는 경우도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현채인들을 육성해서 현지의 사업을 이들에게 맡길 수 있어야 진정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해외 법인이 증가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국내의 여러 부서(영업, 생산, R&D 등)에 해외 관련된 업무가 늘어나게 되고, 이들 국내 부서 담당자들의 글로벌 역량이 중요한 이슈로 대두됩니다. 결국 우리나라 직원들의 글로벌화도 추진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글로벌 HRD는 궁극적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대상에 대한 HRD 서비스를 담당해야 됩니다. 1) 해외 사업부서 인력과 해외 주재원 육성, 2) 현지 채용인 육성, 3) 해외 법인과 교류가 많은 국내 부서 직원들의 글로벌화.
2. 글로벌 HRD 담당자의 KSA
글로벌 HRD 담당자의 KSA는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으나 저는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핵심만 정리해 보았습니다.
[Knowledge]
1) HRD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
2) 해외사업에 대한 전반적 비즈니스 이해
3) 자국의 문화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 (타국과 비교하기 위해)
4) 해외사업 대상 국가의 문화와 인적자원의 특성에 대한 이해
5) 대상 국가의 인력 수준과 선호하는 학습 방법에 대한 이해
[Skill] 여기서는 기술보다는 능력으로 표현합니다.
1) 영어 또는 진출국가의 언어구사 능력
2) 외국인에게 자신의 의견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능력
3) 다양한 의견을 통합할 수 있는 퍼실리테이션 능력
4) 외국인과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
[Attitude]
1) 다양성과 다른 문화를 포용할 수 있는 오픈 마인드
2) 다른 문화를 존중하고 가급적 적응하려는 유연성
3) 호기심을 갖고 항상 학습하는 자세
4)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자세
그러면 이러한 글로벌 HRDer는 어떻게 육성이 될 수 있을까?
1) 우선 영어로 자신있게 소통할 수 있도록 영어를 준비한다.
2) 회사에서 중점적으로 진출하는 나라에 대해 연구를 하고, 방문을 하여 직접 사람들도 만나 경험을 넓힌다.
3) 해당 국가의 HRD 관련 인사들도 만나보고, 현지 컨퍼런스에도 참여를 해 본다.
4) 퍼실리테이션을 습득해서 외국사람들과 회의를 자신있게 준비해서 진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5) 글로벌 HRD에 관한 교육을 받고 멘토를 찾아본다.
다음은 SHRM이 정리한 글로벌화가 HRD에 미치는 영향입니다.